
스트림 API 자바8부터는 스트림 API가 다량의 데이터 처리작업을 돕고자 추가되었다. 스트림(stream)은 데이터 원소의 유한 혹은 무한 시퀀스를 뜻함 스트림 파이프라인은 이 원소들로 수행하는 연산단계를 뜻함 스트림 안의 데이터 원소들은 객체 참조나 기본 타입 값(int, long, double 지원) 스트림 파이프라인 소스 스트림에서 시작하여 종단 연산으로 끝남. 그 사이에 중간 연산이 있을 수 있음 중간 연산은 스트림을 어떤 방식으로 변환 한 스트림을 다른 스트림으로 변환 변환된 스트림의 원소 타입은 변환 전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음 종단 연산은 마지막 중간 연산이 내놓은 스트림에 최후의 연산을 함 스트림은 지연 평가(lazy evaluation) 된다. 종단연산에 쓰이지 않는 데이터 원..

자바가 람다를 지원하면서 바뀐 것 상위 클래스의 기본 메서드를 재정의해 원하는 동작을 구현하는 템플릿 메서드 패턴 → 함수 객체를 받는 정적 팩터리나 생성자를 제공하는 것 (함수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는 생성자와 메서드를 더 많이 만들어야함 ex) LinkedHashMap 의 removeEldestEntry 메서드 (맵의 가장 오래된 원소 제거) //재정의함 -> 원소가 100개를 넘어가면 가장 오래된 원소를 제거 protected boolean removeEldestEntry(Map.Entry eldest) { return size() > 100; } 위 코드를 람다를 사용하여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만들 경우에는 아래와 같다. //불필요한 함수형 인터페이스 - 대신 표준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 @Fu..

메서드 참조 람다가 익명클래스보다 간결하다. 그런데 자바에서 함수 객체를 람다보다 간결하게 만드는 방법이 메서드 참조이다. map.merge(key, 1, (count,incr) -> count+incr); 위의 람다를 사용한 코드는 count와 incr이 특별이 하는 일 없이 공간만 차지하게 된다. 그래서 람다 대신 이 메서드의 참조를 전달하면 더 보기 좋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map.merge(key, 1, Integer::sum); 람다로 할 수 없는 일이라면 메서드 참조로도 할 수 없다. 보통은 메서드 참조가 더 간결하지만, 상황마다 다르다. //메서드 참조 service.execute(GoshThisClassNameIsHumongous::action); // 람다를 사용하는 경우 -> 더 간..

예전 자바에서는 함수 객체를 만드는 주요 수단은 익명 클래스였다. 함수 객체 : 추상 메서드를 하나만 담은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 //익명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함수 객체로 사용 - 낡은 기법 Collections.sort(words, new Comparator() { @Override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Integer.compare(s1.length(), s2.length()); } }); 람다식 자바8부터 추상 메서드 하나만 담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람다식을 이용해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람다는 함수나 익명 클래스와 개념은 비슷 but 코드는 더 간결하고 명확함 //람다식을 함수 객체로 사용 - 익명 클래스 대체 Collec..

마커 인터페이스 자신을 구현하는 클래스가 특정 속성을 가짐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아무 메서드도 담고 있지 않음 예를 들어 Serializable , Cloneable 인터페이스 마커 인터페이스가 마커 애너테이션보다 좋은점 1) 마커 인터페이스는 이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을 구분하는 타입으로 쓸 수 있으나 마커 애너테이션은 그렇지 않다. → 컴파일타임에 오류 검출 가능 Serializable의 writeObject() : 매개변수에서 Serializable 타입인지 확인을 안하고, Object 로 받아 instanceof로 타입검사를 하고 있다. → 직렬화할 수 없는 객체를 넘기면 런타임 오류로 발견할 수가 있다. → 마커 인터페이스의 장점인 컴파일 오류 검출을 살리지 못한 케이스이다. 2) 적용 대..

@Override 자바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애너테이션 중 중요한 애너테이션 메서드 선언에만 달 수 있는 애너테이션 상위 타입의 메서드를 재정의했음을 뜻함 → 버그 예방 만약, equals 메서드를 다음과 같이 재정의하였다면? public boolean equals(Bigram bigram) { return bigram.first == this.first && bigram.second == this.second; } 위의 equals 메서드는 재정의(overriding)한게 아니라 다중정의(overloading) 해버렸다. Object의 equals 를 재정의하려면 매개변수 타입을 Object로 해야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 실수로 별개인 equals를 새로 정의한 꼴이 되었다. 만약 그냥 위와 같이 코..

명명 패턴 전통적으로 도구나 프레임워크가 특별히 다뤄야할 프로그램 요소에는 딱 구분되는 명명패턴을 적용해왔다. ex) JUnit3의 테스트 메서드 이름을 test로 시작하게함 //JUnit3 : 메서드 이름을 test로 시작해야함 public class helloTest extends TestCase { public void testHello(){ String hello = "hello" } } //JUnit4 : @Test 애너테이션을 사용해 테스트 public class helloTest { @Test public void testHello(){ String hello = "hello" } } 명명 패턴의 단점 오타가 나면 안됨 올바른 프로그램 요소에서만 사용될 보증 없음 프로그램 요소를 매개변수로 ..

열거타입을 확장하는 것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좋지 않다. 그러나, 어울리는 쓰임이 최소한 하나는 있는데 연산 코드다. API가 제공하는 기본 연산 외에 사용자 확장 연산을 추가할 수 있도록 열어줘야할 때가 있다. 열거 타입 자체로는 확장을 할 수 없지만, 인터페이스와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열거타입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낼 수 있다. (열거 타입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 이용) public interface Operation {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public enum BasicOperation implements Operation { PLU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