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렵지 않게 풀은 문제이다.
비트 연산자를 사용하여 풀은 다른사람의 풀이를 보고 아차 싶었다.
C/C++의 개념들을 처음 배울 때 연산자 파트에서 비트 연산자에 대해 꼭 배운다.
실질적으로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떠올리지를 못했던 것 같다.
매우쉽게 떠올릴 수도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나는 비트 연산을 풀어서 코드를 구현했기 때문에 내용자체는 똑같았지만
비트 연산자를 사용한 코드가 더 간단하며 가독성도 좋고 성능도 좋기 때문에
정리하고 넘어가기로 마음먹었다. 😄
<문제>
-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 1 ≦ n ≦ 16
-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출력 형식
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 '#',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
<내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olution(int n, vector<int> arr1, vector<int> arr2) {
vector<string> answer;
for(int i=0; i<n; i++){
int a = arr1[i], b = arr2[i];
string str;
for(int j=0; j<n-1; j++){
((a % 2) || (b % 2))? str += "#" : str += " ";
a /= 2;
b /= 2;
}
(a || b) ? str += "#" : str += " ";
reverse(str.begin(), str.end());
answer.push_back(str);
}
return answer;
}
이중 for문을 사용했고, 비트 연산의 내용을 그대로 구현했다.
처음부터 arr1[i]와 arr2[i]를 비트 연산자 OR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을 저장한 후에
내부 for문을 돌리면 될 것 같다. 그 후에 매번 >>연산자를 사용하여 2를 나누어주도록 하자.
그리고 str문에 문자를 붙일 때 왜 저렇게 붙이고 나중에 굳이 reverse함수를 썼나 자괴감이 든다... ㅋㅋㅋ ㅠㅠ
그냥 붙일 문자 뒤에다가 str을 더하면 될 텐데... 이런 실수도 줄이도록 하자.
<다른 사람의 풀이>
- 비트 연산자 사용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olution(int n, vector<int> arr1, vector<int> arr2) {
vector<string> answer;
for(int i=0; i <n; i++){
arr1[i] = arr1[i]|arr2[i];
string ans = "";
for(int j = 0; j<n; j++){
if(arr1[i] % 2 == 0) ans = " " + ans;
else ans = "#" + ans;
arr1[i] = arr1[i] >> 1;
}
answer.push_back(ans);
}
return answer;
}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2진수의 마지막자리 수와 같기 때문에
위와 같이 if문을 쓰고 >>연산자를 통해서 2로 나누어준 것이다.
즉, 2진수의 뒷자리부터 for문을 도는 것이기 때문에 문자열을 뒤로 붙여주는 것이다.
'CS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 전화번호 목록 ( C++ ) (1) | 2021.01.15 |
---|---|
[ 프로그래머스 ] 소수 찾기 ( C++ ) (0) | 2021.01.12 |
[ 프로그래머스 ] 멀쩡한 사각형 (C++) (0) | 2020.12.29 |
[ 프로그래머스 ] 기능개발 (C++) (0) | 2020.12.29 |
[ 프로그래머스 ] 프린터 (C++) (0) | 2020.12.27 |